정보

전력사용량 똑같은데… 왜 우리 아파트 전기료는 비싸지?

aazoo 2011. 1. 16. 16:21

 

 

 

 

 

전력사용량 똑같은데… 왜 우리 아파트 전기료는 비싸지?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아파트 단지별 단일계약땐
주택용 고압요금 적용돼
세대별 계약보다 20%저렴

공동시설요금 많을땐 불리
어느쪽이 유리한지 살펴야

 

 

 

 

 

 

 

 

 

 

계속되는 한파로 전력사용량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전력예비율이 떨어지는 만큼 정부와 한국전력의 고민도 크겠지만, 그만큼 전기요금을 더 내야 하는 가정의 부담도 만만치 않다. 그런데 아파트의 경우 계약 방식만 잘 선택해도 전기요금을 꽤 아낄 수 있다.

 

■ 종합계약은 ‘소매’, 단일계약은 ‘도매’ 일반주택의 경우 개별 가구별로 전기요금이 부과되지만, 공동주택인 아파트는 전기사용 계약 방식이 크게 종합계약과 단일계약 두가지로 나뉜다. 종합계약은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개별 가구들의 전기사용량을 검침해 한전에 알리면, 한전이 각 가구들에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내는 방식이다. 대신 엘리베이터 등 공동설비 사용량은 누진제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용 전력요금으로 계산한다.

 

이에 반해 단일계약은 아파트 단지가 계약 당사자다. 한전은 단지 전체 사용량을 가구수로 나눠 요금을 매긴 뒤 다시 가구수만큼 곱한 전기요금을 관리사무소(입주자대표회의)에 부과하고, 전체 요금을 통보받은 관리사무소는 사용량에 따라 각 가구에 요금을 부과한다. 종합계약이 개별 가구가 직접 전기를 구매하는 소매라면, 단일계약은 관리사무소가 전기를 도매로 구입하는 방식인 셈이다.

 

그런데 종합계약에는 일반 주택과 똑같은 주택용 저압 요금이 적용되지만, 단일계약은 주택용 고압 요금이 적용돼 20~25%가량 싸다. 아파트 자체에서 전기 사용량과 누진율을 계산해 가구별로 전기요금을 부과하고 징수하는 만큼 혜택을 주는 셈이다

 

 

 

계약방식 바꾸려 서명운동 나서기도 결국 공동설비 요금이 엄청나게 많이 나오는 경우를 제외하면, 단일계약이 주민들에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하지만 관리사무소로서는 번거로운데다, 대부분 주민들이 전기요금체계에 큰 관심이 없어 종합계약을 유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4424가구 규모인 서울 강남 은마아파트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아파트 주민 이목(50)씨는 최근 주민들을 상대로 전기사용 계약 변경 서명을 받는 중이다. 이씨가 한전 사이버지점에서 요금을 계산한 결과 2009년 10월~2010년 9월 1년 동안 은마아파트는 31억4200만원의 전기요금을 냈는데, 단일계약을 맺었을 경우엔 금액이 27억200만원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계약을 유지해 한해 동안 단지 전체로는 4억4000만원, 개별 가구들은 10만원씩 더 지출한 셈이다.

 

이씨는 “아파트 단지 전체로 보면 최근 3년 동안 전기요금을 10억원 이상 더 냈다”며 “계약 방식만 바꾸면 아낄 수 있는 돈인 만큼 지금이라도 계약 방식 변경을 위해 서명운동에 나섰다”고 말했다.

 

한전 관계자는 “전국 아파트 가운데 390만가구가 단일계약을, 253만가구는 종합계약을 맺은 상태”라며 “가구수와 공동설비 사용량에 따라 어느 쪽이 유리한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한전 사이버지점(www.cyber.kepco.co.kr)에서 요금을 비교해보고 선택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전기료 줄여주는 ‘에스코 기업’ 이용할만

에너지절약 시설 교체뒤
절감비용중 절반만 회수

 

아파트가 노후해 공동시설의 전기요금이나 난방비가 많이 나올 경우엔, 조명을 엘이디(LED)로 교체하거나 난방시설 개선 등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게 좋다. 이런 작업을 추진하려면 ‘에스코’(에너지절약 전문기업)를 찾아야 한다. 에스코란 에너지 절약시설을 설치해 준 뒤 여기서 발생하는 에너지 절감액으로 투자비와 이윤을 회수하는 기업을 가리킨다.

 

안산시 선부동 주공15단지아파트는 지난 2009년 에스코와 계약을 맺고 노후한 중앙난방 시스템을 지역난방 시스템으로 바꾸고, 급탕관 등 배관을 교체했다. 18억원가량인 투자비는 에스코가 부담했으며, 업체는 에너지절감액(한해 2억7800만원)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중이다. 주민들은 투자금 회수기간(약 7년) 동안은 과거와 같은 수준의 요금을 부담하지만, 회수기간이 지나면 요금인하 혜택을 받게 된다.

 

정부는 최근 에스코 활성화를 위해 에너지절감액의 절반은 에스코가 회수해가되, 나머지 절반은 요금 인하를 통해 주민에게 혜택을 주도록 했다. 주민들로서는 아무 부담없이 시설을 개선하고 요금은 아끼게 되는 셈이다.

 

아파트 주민이 에스코 사업을 원할 경우엔 입주자대표회의 차원에서 뜻을 모은 뒤 에스코협회(www.esco.or.kr) 등을 통해 발주하면 된다. 계약을 맺은 에스코는 에너지관리공단에 융자를 신청하게 된다. 공공임대 주택의 경우엔 정부가 사업비의 30%를 지원해주는데, 서울 상도동 등 5곳에서 시범 사업이 진행중이다.

 

이순혁 기자